GIF 포맷은 JPEG 및 PNG 포맷과 함께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서, 1987년 개발된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 모든 브라우저에서 잘 지원되는 포맷입니다.
특히 GIF 포맷을 사용하면 애니메이션 GIF 파일(Animated GIF file), 즉 동영상처럼 움직임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. 많은 사이트에서 길이가 짧거나 크기가 작은 동영상을 대체할 용도로 GIF 포맷이 많이 쓰여 왔습니다.
GIF 포맷은 자체적으로 256색만을 지원하므로 고화질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제한이 있으며, 일반적으로 동영상을 애니메이션 GIF로 변환하는 경우 화질 열화가 심한 경우가 많습니다.
▲ 화질 열화가 심하게 일어난 GIF 파일
하지만 꿀캠은 최적화된 256색 양자화 작업을 통해 이런 단점을 최소화하며, 동영상 원본과 최대한 가까운 고화질의 움짤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.
WebP 포맷
WebP 포맷은 구글에서 2010년에 개발한 이미지 포맷으로 웹페이지에서 JPEG 및 PNG 포맷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. 손실압축과 비손실 압축을 둘 다 지원하며, 기존에 많이 사용되는 JPEG 및 PNG 포맷보다 압축 효율이 좋습니다.
애니메이션 GIF 파일을 대체하기 위해 WebP 포맷 또한 애니메이션 기능을 제공합니다. 이미지의 특성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, 애니메이션 WebP 파일은 같은 내용의 GIF 파일보다 파일 크기가 1/5부터 최대 1/10까지 줄어들기도 합니다.
예전에는 지원하는 브라우저가 많지 않았지만, 현재는 크롬, 엣지, 파이어폭스 등 최신의 브라우저들이 이 포맷을 지원합니다. 또한 아이폰의 경우 2020년 9월 출시된 iOS14부터 이 포맷을 지원합니다. 인터넷 익스플로러(IE)의 경우 WebP를 지원하지 않지만 엣지 브라우저에서 WebP를 지원하기 때문에 현재 거의 모든 기기에서 이 포맷으로 된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.
WebM 포맷 역시 WebP 포맷처럼 웹페이지에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글에서 개발한 동영상 포맷입니다. VP8 및 VP9 비디오 코덱을 사용하며, H.264 코덱과 비슷하거나 더 좋은 압축 효율을 보여줍니다.
이 포맷의 파일은 비디오 파일이기 때문에 HTML5 의 <video> 태그를 이용해 브라우저에서 재생할 수 있습니다. 현재 인터넷 익스플로러(IE)를 제외한 대다수의 브라우저가 WebM 포맷을 지원합니다.(단, VP9의 경우 VP8보다 더 높은 압축효율을 보이지만 사파리 등의 브라우저에서는 재생이 불가합니다.)
WebM은 투명한 배경을 지원합니다. 만약 투명한 배경이 포함된 동영상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 WebM이 유일한 방법입니다.
용량 및 화질 비교
GIF 포맷 (용량: 929KB)
WebP 포맷 (용량: 131KB)
이 이미지는 구글 크롬, MS 엣지 브라우저 또는 꿀뷰로 볼 수 있습니다. (아이폰은 iOS 14부터 지원)
WebM 포맷 (용량: 75KB)
GIF 파일과 비교해서 WebM 파일의 용량이 현저히 작음을 알 수 있습니다. 이 동영상은 구글 크롬이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으로 볼 수 있습니다.
꿀캠은 WebM 및 MP4 포맷으로 파일을 만들 수는 있지만, 오디오는 지원하지 않습니다. (녹화하는 동영상의 소리는 녹음되지 않습니다.)